폐관코딩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BST 1

[알고리즘] 이진검색트리(BST)

이진검색트리란? 이진트리이면서 각 노드에 하나의 키(데이터)를 가지고있으며 임의의 노드v에 대하여 왼쪽 부트리에 있는 키들은 key[v] 보다 작고 오른쪽부트리에 있는 값은 크거나 같다. dynamic set 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위한 자료구조(search, insert, delete) 예컨대 이진탐색의 경우 탐색에 소요되는 계산복잡성은 𝑂(log𝑛)O(log⁡n)으로 빠르지만 자료 입력, 삭제가 불가능합니다. 연결리스트의 경우 자료 입력, 삭제에 필요한 계산복잡성은 𝑂(1)로 효율적이지만 탐색하는 데에는 𝑂(𝑛)의 계산복잡성이 발생. 두 마리 토끼를 잡아보자는 것이 이진탐색트리의 목적. 이진탐색트리를 순회할 때는 중위순회(inorder) 방식을 씁니다. (왼쪽 서브트리-노드-오른쪽 서브트리 순으로 순회..

알고리즘 2021.09.21
이전
1
다음
더보기
  • 닥치고 코딩 (85)
    • 리눅스 (19)
    • javascript (2)
    • php (3)
    • Java & Spring (15)
    • python (2)
    • TDD한걸음 (2)
    • 알고리즘 (6)
    • 용어정리 (3)
    • 기술블로그 (4)
    • 기술면접 대비 (4)
    • 네트워크 (4)
    • 분석설계고민 (4)
    • 기타 (14)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Tag

리눅스 서버 시간 변경, java, 리눅스 용량 큰 파일 삭제, 테스트코드 작성 방법, 객체지향, 테스트 어노테이션, ajax란, 스택 큐 비교, 우분투 시간 변경, predecessort, 크루스칼알고리즘, TDD하는법, 람다란?, AES_DECRYPT" not found, ssl이란, 알고리즘 공부 순서, 부루투포스, maven을 gradle로 변환, 우분투 시간 동기화, ssl인증방식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